이전에 CentOS에서 파이썬 3 설치를 한 후 python3.6라고 커맨드를 실행하면 파이썬 3버전을 실행할 수 있음을 확인한 바 있다. 

참조: https://marshallslee.tistory.com/entry/CentOS-7%EC%97%90%EC%84%9C-%ED%8C%8C%EC%9D%B4%EC%8D%AC-3-%EC%84%A4%EC%B9%98?category=1044300

 

CentOS 7에서 파이썬 3 설치

실행환경: AWS EC2 CentOS 7.6.1810 AWS EC2 CentOS 7버전 기준, 파이썬 2버전이 기본적으로 제공되고 있으나 3버전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3버전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해 설치..

marshallslee.tistory.com

그런데 python3.6 라는 커맨드가 다소 길어보여서 이를 간소화된 커맨드로 바꾸고 싶은 경우가 생길 수도 있다. 이 경우 alias 커맨드를 활용하여 새 커맨드를 만들 수 있다.

 

alias 커맨드는 사용자가 커스텀 커맨드를 만들 수 있도록 해준다. 우선, 다음과 같은 커맨드를 콘솔에서 확인하여 기존의 python3.6이 어디에 위치해 있는 프로그램인지를 확인한다.

 

$which python3.6

 

실행 결과, /usr/bin/python3.6에 위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로값을 가지고 alias 커맨드를 ~/.bashrc 파일을 열어서 맨 아래줄에다가 다음과 같이 한 줄 추가해 준다. 단축된 커맨드는 python3라고 하겠다.

 

alias python3='/usr/bin/python3.6'

 

콘솔 접속을 종료한 후 다시 들어와서 python3라고 실행해 보면 python3.6을 실행했을 때와 똑같이 작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응형

현재 서버의 시스템 시간은 date 커맨드로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다. 커맨드 실행 시 다음과 같은 형식의 결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Tue Feb 19 07:36:21 UTC 2019


만일, 시스템 시간이 실제 시간과 맞지 않거나 혹은 시간대가 다른 경우에는 시간을 바로잡아 줘야 하는데, timedatectl 커맨드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서울 시간 기준으로 바로잡도록 할 수 있다. 


timedatectl set-timezone Asia/Seoul


그리고 다시 date를 실행해 보면 시간대가 바뀌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ue Feb 19 16:37:55 KST 2019


참고로, timedatectl list-timezones를 실행하면 timedatectl 커맨드에서 제공하는 시간대 전체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아시아 지역 시간대가 어떤 것들이 제공되는지를 확인하려면 따라서 grep 커맨드와 조합하여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timezonectl list-timezones | grep Asia

반응형

실행환경: CentOS 7.5.1804 

자바: Oracle JDK 8 version 


아래의 작업은 모두 root 계정으로 진행되었다. 

1. Oracle JDK 8버전을 Linux x64 환경에서 작동할 .tar.gz 형식으로 된 파일로 다운로드 한다. 


2. 파일질라를 이용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서버에다가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opt 밑으로 이동시킨다. 


3. 압축해제를 한 후 생성된 디렉토리명을 java로 변경해 준다. 

$tar xzvf jdk-8u191-linux-x64.tar.gz $mv jdk1.8.0_191 java 


4. /etc/profile 파일 밑에다가 다음 내용을 추가해 준다. 

export JAVA_HOME=/opt/java export JRE_HOME=$JAVA_HOME/jre 

export PATH=/$PATH:/opt/java/bin:/opt/java/jre/bin 


5. 여기까지 하고 변경된 내용을 시스템에 적용시켜준다. 

$source /etc/profile

반응형

설치 환경: Red Hat Enterprise Linux 7.6 버전


1. Golang 타르 파일 다운로드 하기. 어떤 버전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지는 여기서 (https://golang.org/dl/) 확인하기.

$wget https://dl.google.com/go/go1.11.4.linux-amd64.tar.gz


2. 다운받은 파일을 압축해제.
$tar -xzf go1.11.4.linux-amd64.tar.gz

3. 압축해제된 디렉토리를 /usr/local 밑으로 이동.
$mv go /usr/local

4. ~/.bash_profile을 열어서 실행환경을 다음과 같이 추가해준다.
1
2
3
4
export GOROOT=/usr/local/go
export GOPATH=/opt/go
export PATH=$GOPATH/bin:$GOROOT/bin:$PATH
 
cs


5. 변경된 내용을 source 커맨드를 이용하여 적용해 준 후 go version 커맨드를 실행해 보면 설치가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source ~/.bash_profile


반응형

기본 조건: LVM 확장이 되어 있음


XFS 파일시스템에서는 xfs_growfs 커맨드를 활용하여 파티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옵션을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사이즈를 명시하여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xfs_growfs -D (size)


여기서 말하는 사이즈는 블록 사이즈이다.


한편, 현재 마운트 되어 있는 XFS 파일시스템 파티션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이 알아볼 수 있다.


data 쪽 라인을 보면 블록당 사이즈가 4096 바이트, 즉 4킬로바이트이며 총 78,642,944개의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의 결과에서 /dev/xvdb1 파티션의 데이터 영역 사이즈는 78,642,944 * 4 / 1024 / 1024 = 약 300기가바이트임을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xfs 파일시스템이란 무엇인가 (feat. inode)  (0) 2018.07.18

XFS 1993년 실리콘 그래픽스 (SGI)가 만든 고성능 64비트 저널링 파일 시스템으로, CentOS 7버전부터 기본 지원되는 파일시스템이다. 기존 CentOS에는 EXT가 기본 지원되고 있었다. XFS 파일시스템은 64비트 환경에 최적화 되어 있으며, 다른 파일시스템에 비해 가지는 장점으로는 다음이 있다.


1. 이론상이긴 하지만 900만 TB까지 지원이 가능하다 ( 단, 32bit 환경에서는 16TB까지만 지원이 가능하다.)

2. 사용가능한 inode값이 넉넉하다 .같은 용량의 ext3에 비해 8배 많은 inode 생성이 가능

3.  xfs_growfs 유틸을 통해 마운트된 상태에서도 파일시스템 확장이 가능하다.

4. 파일시스템 생성(포맷)시간이 타 파일시스템에 비하여 압도적으로 빠르다.

5. 파일시스템 체크 시 ext3는 사용하지 않는 inode까지 체크를 하기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반면 xfs는 사용중인 inode만 체크하므로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다.

6.  동일 크기의 파일을 삭제하여도 ext3보다 2.5배 빠른 속도를 제공한다.

 

<XFS의 단점>

1. 대용량 위주 파일시스템이다 보니 작은 사이즈의 파일에선 되려 속도가 느린 부분이 있다.

2. 정식 채택된지 얼마 안된 파일시스템이다 보니 이식성이 ext에 비해 떨어진다.

3. 만약 파일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했을시에 아예 커널 메시지가 나오질 않는 증상을 야기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4. 디버그 옵션이 존재하지 않아 삭제된 파일은 복구가 불가능하다.

5. 파일시스템이 깨졌을때 xfs_repair를 실행시 물리적 메모리나 swap이 2TB당 1G 이상이 되어야 repair 실행이 가능하다.

6. 시스템이 아닌 별도의 데몬에서 파일시스템을 관리한다.

 

# ps aux | grep xfs

root      2359 0.0 0.0     0 0 ? S<  15:05 0:00 [xfslogd/0]

root      2360 0.0 0.0     0 0 ? S<  15:05 0:01 [xfslogd/1]

root      2361 0.0 0.0     0 0 ? S<  15:05 0:00 [xfsdatad/0]

root      2362 0.0 0.0     0 0 ? S<  15:05 0:00 [xfsdatad/1]

root      2363 0.0 0.0     0 0 ? S  15:05 0:03 [xfsbufd]

root      4402 0.0 0.0     0 0 ? S  15:43 0:00 [xfssyncd]


* inode

유닉스 계통 파일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자료구조. 아이노드는 정규 파일, 디렉토리 등 파일시스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파일들은 각자 1개의 아이노드를 가지고 있으며, 아이노드는 소유자 그룹, 접근 모드(읽기, 쓰기, 실행 권한), 파일 형태, 아이노드 숫자(inode number, i-number, 아이넘버) 등 해당 파일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파일시스템 내의 파일들은 고유한 아이노드 숫자를 통해 식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파일 시스템을 생성할 때 전체 공간의 약 1퍼센트를 아이노드를 위해 할당한다. 아이노드를 위한 공간이 한정되어 있는 만큼 파일시스템이 가질 수 있는 파일의 최대 개수도 한정되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사용자가 느끼기에 거의 무한 개에 가까운 파일을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다.

 

<아이노드에 포함된 정보>

  • 파일 모드: 파일과 관계된 접근과 실행 권한을 저장하는 16비트 플래그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C%95%84%EC%9D%B4%EB%85%B8%EB%93%9C

비트

내용

12-15

파일 형식 (일반, 디렉토리, 문자 또는 블록 특별, 선입선출 파이프)

9-11

실행 플래그

8

소유자 읽기 허가

7

소유자 쓰기 허가

6

소유자 실행 허가

5

그룹 읽기 허가

4

그룹 쓰기 허가

3

그룹 실행 허가

2

다른 사용자 읽기 허가

1

다른 사용자 쓰기 허가

0

다른 사용자 실행 허가

  • 링크 수: 이 아이노드에 대한 디렉토리 참조 수

  • 소유자 아이디: 파일의 소유자

  • 그룹 아이디: 이 파일과 관계된 그룹 소유자

  • 파일 크기: 파일의 바이트 수

  • 파일 주소: 주소 정보 (39바이트)

  • 마지막 접근: 마지막으로 파일에 접근한 시각

  • 마지막 수정: 마지막으로 파일을 수정한 시각

  • 아이노드 수정: 마지막으로 아이노드를 수정한 시각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XFS 파일시스템에서 파티션 리사이즈  (0) 2018.07.24

+ Recent posts